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혹은 행위자 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줄여서 ANT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은 1980년대 초반에 프랑스 과학기술학자인 브뤼노 라투르, 미셸 칼롱,
그리고 영국의 과학기술학자인 존 로 이렇게 세명이 함께 창안한 이론입니다.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은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구조나 사회적 힘 같은것을 상정하지 않고
행위자와 이들의 관계가 만들어내는 네트워크만을 이용해서 사회 현상을 설명하려고 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이야기 하면 다른 여타 사회이론과 크게 다를바가 없어 보이는데요
그런데 독특한 점이 있습니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서 행위자는 인간 행위자 만이 아니라 즉, 사람만이 아니라 비인간 행위자(Non-Human Actor)를 포함합니다.
우리 주위를 보면 수많은 비인간이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타고 다니는 자동차, 과속방지턱, 시계, 핸드폰, 요즘 우리가 피하고 싶어하는 코로나19바이러스, 세균, 전자어마어마하게 많은 숫자의 비인간 행위자들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서는 이런 비인간 행위자들이 행위성을 가진다고 이야기합니다.
여기서 행위성이라는 것은 영어 Agency를 번역한 말인데요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그 이전까지는 행위성(Agency)을 인간만이 가진다고 간주했습니다.
왜냐면 인간만이 의지나 의도를 가지고 행위를 할 수있으므로 인간만이 행위성을 갖는다고 당연히 생각했죠.
그런데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에서는 '인간만이 아니라 비인간들도 이런 행위성을 갖는다'
그리고 '인간과 비인간을 대칭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대칭적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주장을 합니다.
비인간이 행위성을 갖는다? 대체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요. 비인간, 자동차 혹은 나의 핸드폰이 의지나 의도가 있을까요?
그런의미가 아닙니다.
비인간이 행위성을 갖는다는 이야기는 나의 행동을 나의 행동을 나의 친구가 바꿀수 있듯이 나의 주변사람이 나에게 영향을 미쳐서 나의 행동을 바꿀 수 있듯이 비인간들도 나에게 영향을 미쳐서 나의 행동을 바꾼다는 것입니다.
제가 핸드폰을 사용하고 나서부터 언제부터인가 일기를 쓰지 않게 됐습니다.
핸드폰에 간단히 메모를하거나 SNS에 일기를 올리죠
내가 핸드폰을 사용하고 나서부터 나는 친구의 전화번호를 외우지 않게 됐습니다.
내가 핸드폰에 다 저장을 해놨기 때문에 심지어 나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사람들도 종종 있습니다.
핸드폰이 나의 행동을 바꾼것이죠
내 친구가 나의 부모님이 나의 행동을 바꾸듯이 내가 사용하는 핸드폰 역시 나의 행동을 바꾼것입니다.
나는 자동차를 운전하고부터 잘 걷지 않게 됐습니다. 자동차가 나의 행동을 바꾼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비인간들이 행위성을 갖는다고 이야기합니다.
비인간들은 다른 인간들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행동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런의미에서 사회라는 것은 혹은 우리가 사회라고 부르는것은 인간과 비인간이 얽혀있는 집합체이다.
즉 우리가 사회를 이야기하고 분석할때 인간만을 분석하는 것 가지고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비인간을, 인간을 위해서 의미있는 것으로 바꾸거나 길들이는 인간의 실천이 바로 과학기술입니다.
그래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서는 과학기술이 굉장히 중요하구요
특히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서는 과학기술을 합쳐서 테크노사이언스라고 부릅니다.